13:30 – 14:20 | |||
---|---|---|---|
개회식 | |||
개회사 | TBA |
||
개회사 | TBA |
||
축사 | TBA |
||
환영사 | 임현묵 | 유네스코 아태교육원장 |
|
기조연설 | 풋 시말라봉 | 라오스 교육부 장관 |
|
사회자 | 엄정민 | 유네스코 아태교육원 연구개발실장 |
|
1부. 변화의 시대에 생각해보는 세계시민교육과 변혁적 교육 | |||
14:30 – 15:30 | |||
기조세션 1 - 다면적 위기의 시대를 위해 풀어보는 세계시민교육의 다차원성
+ 더보기
|
|||
연사 | 패트릭 돌란 | 아일랜드 골웨이대학교 정치학 및 사회학 대학 유네스코 아동 가족 연구소장, ‘아동, 청소년 및 사회참여’ 유네스코 석좌교수 |
|
연사 | 이재영 | 국립공주대학교 환경교육과 교수 |
|
진행자 | 카레나 멘지-발렌타인 | 호주 센트럴 퀸즈랜드대학교 교수 |
|
15:50 – 17:00 | |||
기조세션 2 – 변혁적 학습 역량으로 구체화 시켜보는 세계시민교육
+ 더보기
|
|||
연사 | 이무성 | 연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|
|
연사 | 에스더 케어 | 호주 멜버른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연구원 |
|
연사 | 칼린 러스 | 루마니아 티미소아라 인터컬쳐럴 인스티튜트(Intercultural Institute of Timisoara) 원장, 유럽평의회 민주적 문화 역량을 위한 참조 기준(Reference Framework of Competences for Democratic Culture) 실무그룹 리더 월드와이드웹 재단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매니저 |
|
진행자 | 애런 베나봇 | 미국 뉴욕주립대학교(SUNY-Albany) 교수 |
|
17:20 – 19:00 | |||
기조세션 3 – 변혁적 학습을 위한 변혁적 교육 (패널 토론)
+ 더보기
|
|||
진행자 | 한경구 |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사무총장 |
|
크리스토퍼 캐슬 | 유네스코 평화·지속가능발전국장 |
||
베리카 슈카키제 | 조지아 교사 역량 개발 센터 원장 |
||
패널 | 디디 수키야디 | 인도네시아 국립교육대학교 부총장 |
|
마이클 보아키에-이아돔 | 가나 케이프코드대학교 교육기획행정원 (Institute for Educational Planning and Administration) 원장 |
||
우마이르 무쉬타크 | 파키스탄 리틀 아트(The Little Art) 선임매니저 |
||
카레나 멘지-발렌타인 | 호주 센트럴 퀸즈랜드대학교 교수 |
2부. 실천과 페다고지로 이어지는 세계시민교육 | |||
---|---|---|---|
10:00 – 11:30 | |||
분과세션 1 – 실천하는 GCED
+ 더보기
|
|||
분과세션 1.1. GCED와 교육과정 통합
+ 더보기
|
|||
연사 | 아놀롬 빌래이폰 | 라오스 교육과학연구소장 |
|
연사 | 앰버 라이 | 부탄 교육기술개발부 교육과정개발자 |
|
연사 | 에드워드 아피아 | 가나 국립교육과정평가위원회(National Council for Curriculum Assessment) 위원장 |
|
진행자 | 칼린 러스 | 루마니아 티미소아라 인터컬쳐럴 인스티튜트(Intercultural Institute of Timisoara) 원장, 유럽평의회(Council of Europe) 민주적 문화 역량을 위한 참조 기준(Reference Framework of Competences for Democratic Culture) 실무그룹 리더 |
|
분과세션 1.2. 평생 학습으로서의 GCED | |||
연사 | 노민마 울지밧 | 체크체크프로젝트 설립자 및 대표 |
|
연사 | 이니올루와 오데쿤레 | 더 아이덴티티 프로젝트 디렉터 |
|
연사 | 대구광역시 수성구 사례 | 대한민국 |
|
진행자 | 한건수 | 강원대학교 교수 |
|
분과세션 1.3. 고등교육 및 예비교사 교육을 위한 간학문적(interdisciplinary) GCED | |||
연사 | 나티아 나츠브리쉬빌리 | 조지아 민주시민성 전문가, 유럽평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|
|
연사 | 세라핀 아비올라 | 필리핀 세계시민교육 협력센터장 |
|
연사 | 마르코 파스콸리니 | 유네스코 베이루트 사무소 교육 사업 전문가 |
|
진행자 | 크리스토퍼 캐슬 | 유네스코 평화·지속가능발전국장 |
|
13:00-14:30 | |||
분과세션 2 – 사회적 참여와 비판적 역량 강화를 위한 GCED “역량“ : 개인주의적 접근을 넘어
+ 자세히 보기
|
|||
분과세션 2.1. 교육자를 위한 GCED 역량: 비판적 역량 강화를 위한 변혁적 학습으로서의 교수 실습 | |||
연사 | 레아 에스파야르도 | 필리핀연극교육협회 상주 예술교육가 |
|
연사 | 딜런 레이 | 휴먼 리스판서빌러티 액셀러레이터 글로벌 디렉터 |
|
연사 | 레베카 로사리오 베르카시오 | 비콜대학교 교수 및 우수 교수 센터장 |
|
진행자 | 파르얄 칸 | 유네스코 방콕 사무소 교육 사업 전문가 |
|
분과세션 2.2. 변화의 매개체로써 청년의 역할 | |||
연사 | 비올레타 라미레즈 | 푼다시온 우니베르시타리아 사니타스 심리사회 연구자 |
|
연사 | 우마이르 무쉬타크 | 파키스탄 리틀 아트(The Little Art) 선임매니저 |
|
연사 | 이주현 | SDSN 프로젝트 부서장 |
|
진행자 | 패트릭 돌란 | 아일랜드 골웨이대학교 정치학 및 사회학 대학 유네스코 아동 가족 연구소장, ‘아동, 청소년 및 사회참여 유네스코 석좌교수 |
|
분과세션 2.3. 다시 생각해보는 GCED 모니터링(라운드테이블 토론) | |||
진행자 | 에스더 케어 | 호주 멜버른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연구원 |
|
발표자/토론자 | 애런 베나봇 | 미국 뉴욕주립대학교 (SUNY-Albany) 교수 |
|
레이첼 파커 | 호주 교육 연구위원회 선임연구위원 |
||
진행자 | 박환보 | 충남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|
|
14:40-16:00 | |||
분과세션 3 – GCED를 위한 혁신적 교수법 및 리소스
+ 자세히 보기
|
|||
분과세션 3.1. 변혁적 학습을 위한 스토리텔링 (워크숍) | |||
진행자 | 리사 반 윅 | 월드와이드웹 재단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매니저 |
|
분과세션 3.2. 역량 강화를 위한 변혁적 교수법 | |||
발표자 | 욬 핑 첸 | 말레이시아 아츠-에드(Arts-Ed) |
|
발표자 | 레아 에스파야르도 | 필리핀연극교육협회 상주 예술교육가 |
|
발표자 | 황지민 | 수원 금호 초등학교 교사, 대한민국 세계시민교육 선도교사 |
|
발표자 | 크리스티앙 브라보 아라야 | 유네스코 산티아고 사무소 지속가능발전교육 및 세계시민교육 사업 부관리자 |
|
분과세션 3.3. 혁신적 교수법 및 리소스 | |||
발표자 | 칼린 러스 | 루마니아 티미소아라 인터컬쳐럴 인스티튜트(Intercultural Institute of Timisoara) 원장, 유럽평의회(Council of Europe) 민주적 문화 역량을 위한 참조 기준(Reference Framework of Competences for Democratic Culture) 실무그룹 리더 |
|
발표자 | TBA | TBA |
|
발표자 | 리비 자일스 | 엑설런스 아시아 태평양 센터장 |
|
진행자 | 찰스 차쿤다 | 유네스코 하라레 사무소 교육 사업 전문가 |
첫 번째 기조세션에서는 현재의 위기, 과제 및 해결책의 다차원적 특성을 강조하고, GCED가 학제적 특성을 확대하여 어떻게 보다 효과적인 실습과 교수법을 강화할 수 있을지 논의할 예정이다. 본 논의는 기후 변화 및 혐오표현 및 차별에 대한 행동과 같은 주요 현안에 대해서 GCED가 어떻게 변혁적 학습과 비판적 역량 강화를 가능케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될 것이다.
두 번째 기조세션에서는 "역량"에 대한 기존의 접근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고, 비판적 역량 강화 및 사회적 참여를 위한 변혁적 학습이라는 아이디어에 기반 하여 세계 시민 "역량"에 대해 다시 탐구할 것이다. 이는 GCED를 통해 발전시킬 수 있는 역량의 범위와 가능 조건에 대한 논의를 포함하며, GCED의 원칙이 기술적 문제로 축소되지 않고 전체적이고 맥락적인 접근 방식을 유지하면서 실제 교수-학습에 적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논의 또한 다룬다.
본 패널 토론에서는 정책 입안자, 교사교육기관, 청소년, 교육자, 시민사회단체 등 세계시민교육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다양한 주요 이해관계자를 초대하여 '변혁적 교육‘을 위한 아이디어와 비전을 공유하고, 교육이 변혁적 학습으로 이어지도록 만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견을 나눈다.
첫 번째 분과세션에서는 커리큘럼부터 평생학습, 교사교육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GCED가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.
기존 과목, 커리큘럼 또는 기타 이니셔티브에 GCED를 연계하는 효과적인 프로그램 소개
두 번째 분과세션에서는 다양한 맥락과 이해관계자를 통해 GCED를 위한 그리고 이를 통한 변혁적 학습과 비판적 역량 강화에 대해 살펴볼 것이며, GCED를 통해 강화할 수 있는 학습자와 교육자의 “역량” 및 가능 조건을 탐구할 것이다. 뿐만 아니라 본 논의에서는 GCED 모니터링에 대한 몇 가지 주요 시사점도 살펴볼 것이다.
세 번째 분과세션에서는 비판적 역량 강화와 변혁적 학습을 위해 교육자가 수업 내용에 GCED를 통합하고 이를 구현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교수-학습 방법 및 리소스를 탐구할 예정이다.
주최기관
협력기관